react(27)
-
[react] React Server Component(RSC) 소개
작년 12월 21일. React 팀에서 새로 공개한 따끈따끈한 신기술! React Server Component에 대해 알아보자. React Server Component 줄여서 RSC는 단어 뜻만 보면 서버에서 뭔가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 이게 기존 서버사이드 렌더링과 뭐가 다른 것일까? 대체 뭐길래 따끈따끈하게 공개한 걸까? 지금부터 알아보자. 리액트 생태계에서 Server Side Rendering(SSR) 은 이미 원활하게 지원되고 있다. 특히나 Next.js를 통해 잡다하고 귀찮은 설정 등이 편해지면서 React를 통한 SSR은 충분히 대중화된 상황이다. [react] What is The Difference Point Between Next.js & Create-React-App? (Rea..
2021.01.02 -
[react] CRA로 만든 프로젝트 eject없이 hot-loader 적용하기
React 프로젝트 환경을 쉽게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CRA 보일러 플레이트는 webpack 설정 등의 설정 파일을 숨김으로써 귀찮고 두려운 webpack 세팅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기술 부채를 덮어둔다면) 다만 webpack 설정을 숨기게 되면서, hot-loader와 같이 webpack 설정과 긴밀하게 연결된 일부 의존성 모듈의 적용에 있어 제약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eject(ejection: 숨겨진 설정 파일 창고 대방출) 명령어를 통해 설정 파일을 추출 후 직접 관리하여 해결할 수 있으나, 이 경우 CRA의 모든 설정을 직접 유지보수하게 되면서 CRA의 장점인 one Build Dependency를 잃게 된다. (cra eject는 되돌릴 수 없다는 게 큰 마음..
2020.12.16 -
react에 super(props)를 써야하는 이유
https://min9nim.github.io/2018/12/super-props/ [React] super(props) 를 써야하는 이유 이 글은 Dan Abramov의 Why Do We Write super(props)? 글을 충분한 의역으로 번역한 것입니다. 번역이 일부 자연스럽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최근 Hooks min9nim.github.io js언어에선 상속 클래스의 특성상 super()이 생성자에 강제된다. super()만 선언하더라도 작동은 보장된다. (props가 생성자 이후에 자동으로 세팅됨) 다만 생성자 호출 이후에 props가 세팅되기 때문에, 생성자 내부에서 사용되는 this.props는 undefined가 되어버린다. 이 때..
2020.07.23